부정맥의 정의
근육이 수축하기 위해서는 전기가 발생되어야 가능하다. 그래서 심장내에는 자발적으로 규칙적인 전기를 발생시키고 심장전체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전기 전달 체계가 있다. 이런 체계의 변화나 기능부전등에 의해 초래되는 불규칙한 심박동을 부정맥이라 한다. 부정맥은 빠른 빈맥과 아주 느린 서맥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부정맥은 심각한 심장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또 환자가 인지할 수도 있고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다.
유발원인
심장의 정상적인 수축에는 전기적 자극이 필요하다. 그 체계를 간략하게 보면 동방결절(sinoatrial node),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3개의 속가지(bundle branch)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방결절은 우심방과 상대정맥이 만나는 지점 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정상인에서 맥박수를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곳이다. 방실결절은 심방과 심실의 접합부에 위치하고 있고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심실의 속가지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따라서 심장에서의 정상적인 전기적 발생은 동방결절에서 전기적 신호를 규칙적으로 잘 만들어내면 방실결절이 그 신호를 받아 3개의 속가지들로 빨리 전달시켜 두 심실의 수축을 거의 동시에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 체계 자체에 기능부전이 발생되거나 이 체계를 벗어나 있는 곳에서 비정상적으로 전기가 발생되고 다른 길로 전기가 전달되면 부정맥이 발생한다. 또 정상적인 전기전달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장의 변화나 환경의 변화로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
종류
부정맥의 종류는 크게 세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증상
증상들은 사람마다 또 환자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이상에 따라 차이가 많다. 어떤 사람은 증상이 없을 수도 있고 심한 경우는 처음 나타나는 증상이 급사로 나타날 수도 있다.
진단방법
환자에게서 병력청취나 신체검사로 의사는 정보를 얻을 수 있고 부가적으로 심장병의 유무를 확인하기위한 검사는 다음과 같다.
치료방법
치료는 부정맥의 종류와 경중에 따라 다양하다. 비지속적인 부정맥을 가진 경우는 대부분 생활방식의 개선 이외의 치료가 필요치 않은 경우가 많다.
예방책
일반적으로 부정맥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심장병 예방을 위해 알려진 일반적인 생활방식의 개선외에, 환자가 자기가 가진 부정맥이 유발되는 상황(카페인, 술 섭취, 스트레스)을 알면 그런 상황을 피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의 하나일 수 있다.
|
'정 보 방 > 질병 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근경색증이란? (0) | 2012.12.21 |
---|---|
심방세동 (0) | 2012.12.21 |
심방세동:심혈관질환 (0) | 2012.12.21 |
폐기종. 만성페쇄성폐질환(COPD) (0) | 2012.12.21 |
폐기종이란 (0) | 2012.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