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한잔의 건강(만들기)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0)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1) |
모과나무는 능금나무과 낙엽 활목으로 키는 6m정도이며 봄에는 담홍색 꽃이, 가을에는 노란 과실이 열린다. 여름에 더위를 먹어 식욕이 부진할 때, 몸에 원기가 없고 피곤할 때 체력을 보충해준다. 기침과 변비해소에도 효과적이다. |
재 료 |
재료로는 모과 3개에 설탕 500g이 필요하다. |
차 끓이기 |
1. 모과는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 후 여섯 토막으로 썬다. 2. 겉으로 드러난 씨를 모두 빼고, 약 2mm 두께로 썬다. 3. 얇게 썬 모과를 용기에 한 겹 깔고 설탕으로 덮는 식으로 담아 냉장고에 넣어 둔다. 며칠만 두면 맛있는 모과청이 된다. 4. 10일 정도 숙성시킨 모과청 작은 술 하나에 끓는 물을 타서 마신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5)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6) |
당귀는 미나리과 다년초로 여성을 위한 약초라고 할 만큼 부인병에 효과적이다. 당귀는 여성의 냉증, 혈색불량, 산후회복, 월경불순, 자궁 발육부진에 좋다. 당귀 삶은 물은 예로부터 여성의 피부를 희게 하는 약재로 유명하며, 당귀차는 향과 맛이 일품이어서 접대용으로도 좋다. |
재 료 |
당귀차를 만들 때는 11~12월에 캔 2년 생 뿌리가 필요하다. 이 뿌리를 3월까지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말린다. 당귀가 마르면 더운물에 담가 묻혀 있는 흙을 씻어 낸다. 그런 다음 50도 정도의 물에 10분 정도 담근 후 꺼내어 그늘에 말린다. 완전히 마르면 습기가 없는 통에 넣어 잘 보관해 둔다. |
차 끓이기 |
1. 당귀차 300~500ml를 끓일 때는 1g의 말린 당귀가 필요하다.증상이 심할 경우 물의 양을 줄이면 된다. 2. 먼저 당귀를 물에 씻어 물기를 뺀 후 물과 함께 끓인다. 끓기 시작하면 불을 약하게 줄이고 은근히 오랫동안 달인다. 3. 건더기는 체로 걸러내고 물만 따라 내어 꿀이나 설탕을 타서 마신다. 생강을 첨가해서 달이면 더욱 좋다. 하지만 아랫배가 아프고 설사 기미가 있는 사람에게는 좋지 않으니 주의해야 한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7)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8) |
영지차는 일명 만년차라고도 한다. 많은 사람들이 건강과 장수를 위해 복용하는 인기 높은 약차이다. 신비로운 효능이 많아 영지(靈芝)라고 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영지를 넣은 드링크류가 대량 생산되고 있다. 영지차는 인삼차와 더불어 대표적인 건강 장수차로 오래 복용하면 확실한 효과를 볼 수 있다. 비만에 좋고 콜레스테롤을 예방한다. |
영지차 만드는 법 |
영지는 시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데, 얇게 썬 것을 구입한다. 차를 끓일 때는 영지 10g에 물 300ml가 필요하다. |
영지차 마실때는 |
찻잔에 썰어 놓은 영지를 넣고 끓는 물을 부어 1~2분 우려낸 후에 마신다. 영지에서는 엑기스가 계속 우러나오기 때문에 여러 차례 재탕해서 마시도록 한다. 꿀을 약간 타면 맛이 더욱 좋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9)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40) |
자양, 강장, 흥분, 발한, 해열, 진통, 건위 정장 작용이 있으며 몸이 허(虛)해 추위를 심하게 타는 사람이 마시면 몸에서 땀이 나게 한다. |
재 료 |
계피(10g), 생강(20g), 물(4컵) |
차 끓이기 |
1. 계피(10g)와 생강(20g)을 깨끗이 씻은 후 물기를 뺀다. 2. 계피와 생강 그리고 물(4컵)을 부어 끓이다가 물이 끓으면 약한 불로 달인다. 3. 건더기는 걸러내고 꿀을 타서 마신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41)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42) |
특히 귤의 껍질에 과육보다 비타민C가 더 많이 들어있으므로 귤껍질차를 만들어 마시면 피로회복, 감기예방, 식욕증진, 미용에도 효과가 있다. |
재 료 |
깨끗이 씻은 귤껍질, 물(귤껍질 3배의 물) |
차 끓이기 |
1. 깨끗하게 씻은 귤껍질 여러 개와 물을 끓인다. 2. 물이 끓기 시작하면 은근한 불에 30분 정도 달인다. 3. 건더기는 걸러내고 꿀을 넣어 마신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43)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44) |
따뜻한 성질을 갖고 있는 생강을 물에 끓여먹으면 추위를 덜 타게 하며 감기예방에 효과적이다. 뿐만 아니라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팔, 다리가 저리거나 어지러울 때도 도움을 준다. |
재 료 |
생강(1쪽), 대추(2개), 물(4컵) |
차 끓이기 |
1. 껍질을 벗긴 생강을 깨끗이 씻은 뒤 물기를 닦아낸다. 2. 물기를 닦아낸 생강과 대추, 물을 센 불에 끓인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은근한 불에 30분 정도 달인다. 3. 건더기는 걸러내고 꿀을 놓거나 잣을 띄워 마신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45)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46) |
유자에는 감기 치료에 좋은 비타민C가 유자 1백g당 1백5mg(레몬의 3배, 사과의 25배)이나 들어있기 때문에 겨울에 좋은 과일 중 하나이다. 또 껍질에는 헤스페리딘이라고 하는 혈압을 안정시키며 모세혈관을 강하게 하는 성분이 들어있어 고혈압, 저혈압 관리는 물론 뇌졸중 예방에도 유용하다. |
재 료 |
유자즙, 꿀, 뜨거운 물 |
차 끓이기 |
1. 껍질이 울퉁불퉁하고 진한 오렌지색을 띤 유자를 골라 깨끗이 씻은 다음 물기를 닦는다. 2. 씻어 놓은 유자를 반으로 자른 후 반달모양으로 썬다. 3. 썰어 놓은 유자와 꿀을 함께 간 후 밀폐용기에 넣어 서늘한 곳에 15일 정도 잰다. 4. 위의 유자즙을 따뜻하게 데워 둔 찻잔에 1 작은 술을 넣고 물을 부어 마신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47)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48) |
감잎에는 수지, 탄닌, 카로틴, 유기산, 당, 정유, 엽록소, 섬유질, 단백질 성분이 많이 들어있고 비타민 C 의 함유량은 감잎 100g 중 1000 mg이나 되는데 이는 레몬의 20배에 해당되는 양으로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증가 시키는 기능을 한다. 감잎차는 특히 고혈압 및 동맥경화 예방 에 좋으며, 고혈압 환자가 오래 복용하면 혈압이 내리고 머리가 가벼워진다고 한다. |
재 료 |
감잎 2~3g, 물 100ml |
차 끓이기 |
1. 5~6월 경에 어린잎을 따서 깨끗이 씻은 후 물기를 뺀다. 2. 그늘에서 말린 다음 밀폐용기에 넣어서 보관한다. 3. 물을 끓인 후 80℃로 식힌 다음 감잎 2~3g을 넣고 우려내어 수시로 마신다. 4. 마실 때 잣을 약간 띄워 마시면 더욱 맛있게 마실 수 있다.
주의점! 변비(便秘)가 심한 사람은 감잎차 이용을 삼가해야 한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49)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50) |
장미과의 낙엽소 교목으로 4월에 꽃을 잎보다 먼저 피우고 6~7월에 청색에서 황색으로 변하면서 익는다. 백매는 중풍, 어린이 경기, 후두부 마비, 담, 토사, 하혈 등을 다스리는 효능이 있다. 매실의 과육은 수분 85%, 당분10% 가량을 함유하고 있으며 사과산, 구연산, 호박산 등의 유기산을 5%가량 함유하고 있어 신맛이 강하고, 피로 회복에 좋으며 입맛을 돋우는 데에도 좋다. |
재 료 |
매실, 꿀(설탕), 잣, 가제 |
차 끓이기 |
1. 덜 익은 매실을 강판에 갈아서 삼베 헝겊이나 가제로 즙을 낸다. 2. 이 즙을 햇볕에 넓게 펴 둔다. 3. 2주~4주가 지나면 물엿 같은 흑색의 액체가 그릇바닥에 남는다. 4. 햇볕에 잘 말려도 매실액이 제대로 채취가 되지 않으면 약한 불에 주걱으로 저어가며 끓여 준다. 만들어진 매실 엑기스를 유리병에 넣고 밀봉 후 그늘에 보관하여 복용한다. 5. 뜨거운 물에 매실 엑기스를 타서 하루 2~3잔씩 마신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51)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52) |
길경은 말린 도라지의 뿌리로 성질이 따뜻해 맛이 쓰다. 한방에서는 주로 호흡기 병이나 신장병의 치료에 많이 쓰이며 도라지는 목 감기에 효과가 좋은 약용식물로 알려진다. 길경은 특히 기침 감기에 매우 효과적이며 길경에는 소염, 진통효과를 주는 성분이 첨가되어 있다. 또한 사포닌의 작용으로 기관지의 점액분비 기능을 높여주어 목을 윤택하게 해 편도선이 붓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
재 료 |
도라지, 감초 |
차 끓이기 |
1. 도라지와 감초를 깨끗이 씻고 물기를 뺀다. 2. 용기에 도라지와 감초를 넣고 물을 부어 끓인다. 3. 끓기 시작하면 불을 줄인 후 10분 정도 더 끓인다. 4. 건더기는 체로 걸러 내고 국물만 찻잔에 따른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53)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54) |
복숭아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꽃은 어느 종류이든 차로 쓰는 데는 무방하다. 복숭아꽃의 성분은 아직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한방에서는 주로 설사를 낫게 하는 하제로 쓰인다. 미용차로 여성들에게 좋으며 변비, 각기, 결석 해독 작용 등에도 효능이 있다. 그러나 양을 너무 많이 마시면 좋지 않다. |
재 료 |
복숭아 꽃, 벌꿀 |
차 끓이기 |
1. 복숭아 꽃이 활짝 피었을 때 채취한 후 꽃술을 제거하고 그늘에 잘 말린다. 2. 말린 꽃을 밀봉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하고 사용한다. 3. 보관한 재료 15~20g을 물 500cc에 넣고 달인다. 달인 도화차를 하루 2~3회 벌꿀을 타서 마신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55)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56) |
행인은 살구씨의 알맹이를 말하며 행인은 지방 35%, 아미그달린 약 3%를 함유하고 있다. 기침 천식, 각기 등에 효과가 있다. 행인 차를 장복하고 천식을 치료한 실례도 있다. 행인은 껍데기 째 보관하여 사용할 때마다 조금씩 까서 쓰면 오래 두고 사용할 수 있다. 재료는 가까운 한약방에서도 쉽게 구할 수 있다. |
재 료 |
살구, 꿀 |
차 끓이기 |
1. 보관해 둔 살구를 껍질을 깐 후 손질하여 약한 불에 볶아서 곱게 가루를 낸다. 2. 이 가루를 2(가루) : 1(꿀)의 비율로 섞어서 병에 보관하여 쓴다. 3. 행인분을 뜨거운 물에 타서 하루 2~3회씩 마신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57)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58) |
쑥은 엉거시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서 창쑥, 약쑥, 물쑥, 쑥 등이 있으며 무기질괴 비타민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그 중 비타민A가 많아 약 80g으로도 우리 몸에 하루 필요량을 공급할 수 있으며 비타민C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감기의 예방과 치료에 유효하다. 특히 위장병에 좋으며 신경통, 냉병, 부인병, 요통, 천식 등에 유효하며 쑥차를 오랜 기간 복용하여 만성위장병을 치료했다는 실례도 있다. |
재 료 |
쑥 |
차 끓이기 |
1. 쑥잎을 채취하여 잘 말려 두었다가 밀봉해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한다. 2. 말려 둔 쑥잎 10~15g에 물 500cc에 넣고 약한 불에 달인다. 3. 쑥차는 특유의 쓴맛이 강하기 때문에, 비위가 약한 사람은 결명자 10~15g과 쑥잎 5~6g을 섞어 물 600cc에 넣고 달이면 마시기가 수월하다. 하루 2~3 회씩 나누어 마시며 너무 많은 양을 마시면 좋지 않다. | |
|
![](http://tfile.nate.com/download.asp?FileID=4427013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