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보 방/약용 식물

[스크랩] 산.작약의 효능

천리향(민정) 2013. 8. 23. 17:16

잎의 색도 성장에 따라 변화한다.

작약의 꽃봉우리는 개화기간이 짧아 아쉽기도 하다.

작약의 꽃송이는 만개해도 꽃잎이 활짝 열리지 않는다.

해가 넘어갈 때쯤이면 꽃잎을 닫아 암술과 수술대를 보호한다.

산적작약(산작약)- 직경 2~3Cm로 꽃봉우리가 작은 특징이 있다

씨앗은 붉게 변한후 검게 여문다.- 이때도 산삼으로 착각을 많이 한다

산백작약(백작약)의 씨방- 옆으로 누워 달린다.

익게되면 모두 검은색이 된다.

산적작약(산작약)의 씨방 - 윗 방향으로 솟는다.

백작약의 뿌리- 적작약은 표면이 짙은 갈색으로 검게 보인다.

자생지의 작약 - 아래의 재배작약과 잎모습이 틀리다.

재배작약(가작약)의 잎모습 - 가늘고 길다.

백작약

◇ 성미(性味) ◇

성질은 차갑고 무독하며 맛은 스고 달고 시다.

◇ 용량(用量) ◇

6∼12g

◇ 효능(效能) ◇

백작약은 간과 비장에 작용하여 수렴작용과 해열작용을 나타내고 간의 기운이 뭉친 것을 풀어주고 통증을 감소시켜주는 작용이 있어 각종 통증과 함께 생리불순, 생리통, 식은 땀, 가슴, 옆구리와 배 아픈 증상, 팔다리의 경련과 통증 등에 효과를 나타냅니다.

* 약리작용 : 혈관을 확장하여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혈소판의 응집력을 억제한다.

[가공(加工)]

생용 혹은 볶아서 사용하거나 술에 볶아서 사용한다.

※적합한 체질(體質) : 소음인

[본초강목(本草綱目)]

<本經(본경)>: 복통, 저린 증상, 적취를 치료하며 통증을 멎게 하고 소변을 시원하게 한다.&고 하였다.

<別錄(별록)>: 피를 잘 돌게 하고 복부근육을 이완시키고 어혈과 나쁜 피를 제거하고 부종을 없앤다. 방광과 소장 대장을 원활하게 하고 종기를 가라 앉히며 전염병에 의한 발열 증상을 치료하고 복통과 요통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甄權(견권): 오장육부의 기가 뭉쳐진 것을 치료하고 오장을 튼튼하게 하며 腎氣(신기)를 보충한다. 陰(음)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미열을 치료하고 여성이 생리가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아울러 腫氣(종기)를 삭힌다.

池大明(지대명): 각종 부인과 질환, 출산 전후 모든 질환을 치료하고 風病(풍병)을 치료하고 허약체질을 보완하고 氣(기)를 보충하고 가슴이 답답하고 미열이 있는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놀라는 증상, 정신이상, 두통, 충혈된 눈, 설사, 치질, 혈변, 종기와 피부병을 치료한다.

張元素(장원소): 肝(간)의 기능항진을 억제하고 脾(비)와 肺(폐)를 편안하게 하고 胃氣(위기)를 잘 수렴하여 설사를 멎게 하고 피부를 튼튼하게 하며 혈관을 조화롭게 하고 陰氣(음기)을 잘 수렴하고 氣(기)가 위로 치받는 것을 제거한다.

王好古(왕호고): 소화기능을 촉진시켜서 소화기능의 허약으로 인하여 속이 더부룩하고 명치 부위가 답답한 것을 치료한다. 또한 옆구리 아래가 아픈 것, 트림을 자주 하는 것, 폐가 좋지 않아 천식이 있는 것, 코피를 자주 흘리고 눈이 뻑뻑한 증상을 치료한다. 肝血(간혈)이 부족한 상태를 개선시키고 양유맥(陽維脈)이 병들어 몸에 열이 났다가 싸늘해지는 것이 반복되는 증상을 치료하고 帶脈(대맥)이 병들어 복통이 심하고 허리 부위가 싸늘한 증상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설사와 복통을 그치게 하고 배변후 뒤가 묵직한 느낌을 치료한다.

백작약의 이용

뿌리() 봄, 가을에 채취하여 쪄서 말립니다.

중추신경억제작용이 있어 진정,진통,작용을 한다.
위장의 평활근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것을 막고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습관성변비,위십이지장 궤양에 두루 유효하다.

증상별 복용


속이 거북하고 소화가 안될 때

백작약 50g, 감초 2.5g을 600ml의 물에 넣고 끓이다 불을 줄이고 은근히 달인다. 국물만 꿀에 타서 마신다.

담석증 경련성 아픔

백작약 20g, 감초12g을 끓여 하루 3번 먹는다.

이질, 식도염

작약 뿌리 5 ~ 7g을 1회분으로 달여 3 ~ 4회 복용한다.

임신부들에게 많이 보이는 찐득찐득한 냉이 많이 흐르고 부정 성기 출혈이 있으며 아랫배 까지 아퍼오는 자궁질부미

백작약을 노랗게 볶은 것 10g과 측백잎 약간 구운 것 40g을 섰어 가루내어 1회 8g씩 하루 3번 식후에 먹는다.

젖이 불어나고 아픈 데

맥아(볶은 것) 50g, 천궁 5g, 백작 15g, 생지황 10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2번 먹는다.

맥동 100g을 물로 달여서 수시로 먹는다.

월경통

당귀 20g, 적작 15g, 백작 15g, 오약 15g, 향부 15g을 물로 달여서 월경이 시작될 때 먹는다

 

 

 

 

 

 

 

 

 

 

 

 

 

 

 

 

작약 관련 방송 내용(11월 28일 월요일 아침 SBS 출발 모닝와이드 방송)

< 대한민국 건강백서> 제2편   부인병에 좋은 작약과 당귀

 

"여성의 제2의 심장"이라 불리는 자궁 한의학에서는 여성의 건강,피부등이 자궁건강과 직결돼 있다고 여긴다. 최근 20~30대 사이에서 자주 나타난다는 자궁근종등의 자궁질환은 물론, 자궁암과 유방암등 부인병은 점점 증가하는 추세!! 이러한

부인병에 도움이 되는 한방약초가 있는데 , 바로 작약과 당귀다!

잎과 뿌리,모두 버릴것 없이 사람몸에 좋다 알려진 당귀, 특유의 향으로 입맛 사로잡고 ,건강까지 잡는 당귀는 특히 "여성을 위한 약초"로 일컬어 진다.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효능이 있는데 자궁의 어혈을 없애고 여성건강을 돕는다고

당귀와 함께 여성을 위한 숨은 보물로 꼽히는 약초가 바로 작약이다.

작약은 체내의 어혈을 없애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특히 작약은 자궁을 튼튼히 하는데에 좋다고 하는데 피를 맑게 해주는

효능이 있어 피부를 아름답게 가꾸는데 널리 쓰여왔다고 일상생활에서 부인병을 예방하는데 효능이 있는 한방약초 작약과 당귀 그 생산지를 찻아 다양한 쓰임새와 효능에 대해 알아본다.   '-끝-

 

  작약(뿌리)의 효능  (상기 방송 내용과는 무관한 작약의 효능임) 

   1)혈액순환을 원활히 함

   2)특히 여성에게 좋음(월경과다,부정자궁출혈,신경쇠약,생리통 진정,월경불순,여성의폐경등)

   3)소화능력 향샹

   4)식욕을 돋게하고 위와간의 질병,기침,천식등에 좋음

   5)가슴과옆구리의 통증,관상동맥경화,심장병에 효과

   6) 통증에 진통작용 탁월(두통,위통,설사복통,류마티스관절염)

   7)안구충혈,어지럼증,이명,조급증,화를 잘내면서 머리가 무거운 증상

   8) 감기기운 있을때 ,감기몸살시 (쌍화탕의 주재료가 작약임)

 

임상실험 입증효과

  1)습관성 변비

  2)위,십이지장 궤양에 유효

  3)비장근경련완화

  4)진통효과

  5)기관지 천식에도 좋음

  6)당뇨병 혈당강화 반응

 

* 참고로 작약 복용 방법 알려드림니다.

  1)차로 끊여 먹는법

     작약은 굉장히 쓴맛이 나므로 먹기 좋게 대추와 감초를 넣어 큰 주전자(3.6 L )에 작약 1개~ 2뿌리(큰것은 한뿌리)에 감초 자른것 5개 ,대추 8개 정도 넣고

물이 끊으면 약한불로 30분정도 달여서 냉장고에 넣어놓고 물대신 하루에 4잔~5잔 정도 마시면 좋고 칡이 있으시면 칡도 함께 넣으면 위장과 대장도 튼튼해지고

감기도 낫고 감기예방도 되고 피부와 얼굴이 예뻐짐니다.

 

 * 관절이 안좋으신분들은 가시오가피 나무를 상기재료에다 더하여 드시면 매우 좋은 효과를 얻을것으로 확신합니다.

 

 2) 인터넷에 보면 볶아먹는법등  복용법 나와 있으나 1번이 가장 간편하고 내가 직접 체험한 방법이고 지금도 그렇게 먹고 있어 1번이 좋을듯 ...

출처 : ♡ 좋은노래.모음 ♡
글쓴이 : 신삿갓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