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세포생물학연구실 권두한 박사팀은 최근 감기 바이러스를 잡을 수 있는 천연신물질을 발견해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권 박사팀은 국내외 각종 자생식물들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연구, 분석한 결과 어성초 등의 식물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물질이 감기바이러스의 세포내 증식억제에 효과가 뛰어나다는 사실을 규명한 것이다. 사실상 그동안 라이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 감기바이러스는 원인규명이 어려워 치료가 쉽지 않았다. 감기의 병원이 되는 바이러스 종류는 수백여종에 이른다고 한다. 변종과 아종이 수없이 많기 생성되기 때문이다. 라이노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은 많이 알려진 대표적인 바이러스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어성초 등 4종 이상의 식물에서 얻은 천연물질은 현존하는 감기중에 적어도 80% 에서 90% 까지 치료가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억제에도 효능을 있어 얼마전에 아시아지역에 폭넓게 퍼졌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치료에도 응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감기치료제는 혈관수축제, 진통제, 소염제 계통의 약물로서 감기를 근원적으로 치료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밝혀진 천연신물질은 바이러스 증식자체를 억제해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어성초는 모든 '열로 인한 종기'등에 매우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더우기 인체 내부에 생긴 종기나 곪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양호한 효능이 있다. 따라서 폐에 생긴 종기나 종양, 담열로 인한 기침이 심한 증상, 피를 토하는 각혈등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쓰이며 이외에도 최근에는 폐렴과 급성기관지염, 소아폐병, 장염으로 인한 설사에도 양호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어성초(魚腥草) - 약모밀
어성초란 식물 분류학에 따르면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학명은 Houttugnia Cordata라고 한다 한국 백과 사전에는 약모밀로 되어 있다 . 아시와 동남부와 특히 일본에서는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하며 우리 나라는 산속 그늘지고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 약초이다. 성분은(houttnyninum, cordarine)이 들어 있다. 맛은 맵고 서늘하다. 특이한 것은 어성초만이 '비린내'가 심하게 난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어성초라 부른다 어성초는 다양하게 약용으로 쓰여질뿐만 아니라 심각한 환경 오염과 일상생활의 각종 공해며 독에 저린 현대인에게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신기한 약초로 각광을 받으며 인기 폭발중이어서 여러가지 작용을 인정받고 있다.
< 효 능 >
①어성초는 몸 속의 온갖 독을 없게 하는 해독초다.항바이러스 작용이 강하여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 변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곰팡이 발육을 막고 무좀균을 억제한다. |
출처 : 신비한 약초세상
글쓴이 : 돌고래 원글보기
메모 :
'정 보 방 > 약용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천년 비아그라 메꽃.. (0) | 2013.08.23 |
---|---|
[스크랩] ◎민간 약초 303가지 효능... (0) | 2013.08.23 |
[스크랩] 더덕 하나가 5천만원? (0) | 2013.08.23 |
[스크랩] 한국토종야생산야초연구소에서 운영하는 버섯의 세계 (0) | 2013.08.23 |
[스크랩] ≪ 우리 몸에 좋은 약초술 무엇인가? ≫ (0) | 201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