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방/여행.산행스케치

통도사 자장암(07.03.04)

천리향(민정) 2011. 4. 20. 13:55

금와보살(金蛙菩薩)을 친견하다
통도사 자장암 금개구리 이야기는 전설이 아니었다.
    한창훈(madam999) 기자   
양산 통도사의 산문 안에는 스무 곳에 가까운 많은 암자들이 있다. 그 중에서 서운암과 더불어 가장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암자가 자장암이다.

▲ 자장암
ⓒ 한창훈
자장암은 통도사 창건주 자장율사(慈藏律師)의 수도처(修道處)로 회봉대사에 의해 중창되었다 하며 이후 1963년 용복화상이 중수하였다. 자장암 석면에 새겨진 4m에 달하는 마애불은 1896년에 조성되었다.

▲ 자장암 마애불
ⓒ 한창훈
뒤쪽 암벽에 자장율사가 손가락으로 바위에 구멍을 뚫어 금개구리를 살게 했다는 금와공(金蛙孔)이 있어 유명하다.

▲ 금와공(金蛙孔) 입구
ⓒ 한창훈
이능화(李能和, 1869~1943)의 <조선불교통사>에서 말하기를 "축서산 통도사의 자장암 곁의 커다란 암벽에 손가락 하나가 들어갈 만한 구멍이 있는데 그 속에 작은 개구리가 있다...(중략)... 세상에 전하기를 그 개구리는 자장율사의 신통으로 자라게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지금도 이 금개구리는 불심이 지극한 불자에게 그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세칭 금와보살(金蛙菩薩)이라 한다.

▲ 금와공(金蛙孔)이 있는 암벽
ⓒ 한창훈

▲ 금와공(金蛙孔)
ⓒ 한창훈

▲ 금와공(金蛙孔)
ⓒ 한창훈
여러 번 자장암을 방문하였고, 자장암 입구에 금와보살(金蛙菩薩)에 대한 이야기가 적혀 있으나 그냥 심심풀이 이야기 읽듯 지나왔었다. 오늘(3일)은 금개구리가 산다는 바위구멍(金蛙孔)이라도 자세히 볼 요량이었는데, 뜻밖에 금와보살(金蛙菩薩)을 친견하는 행운을 건졌다.

▲ 실존의 금와보살(金蛙菩薩)
ⓒ 한창훈

 

 

 

영축산 자장암의 전설
원본: 오세암 가는길  

자장율사와 금개구리 <영축산·자장암> 양산 통도사 산내 암자인 자장암 법당 뒤 절벽 바위에는 1천4백 년 전부터 금개구리가 살고 있다고 전한다. 요즘도 자장암에서 정성들여 기도를 잘하면 볼 수 있다는 이 금개구리는 자장율사가 통도사를 세우기 전, 석벽 아래 움집을 짓고 수도하고 있을 때 나타났다. 어느 날 저녁 자장율사는 공양미를 씻으러 암벽 아래 석간수가 흘러나오는 옹달샘으로 나갔다. 바가지로 막 샘물을 뜨려던 스님은 잠시 손을 멈췄다. 『웬 이럴 수가. 아니 그래 어디 가서 못 놀아서 하필이면 부처님 계신 절집 샘물을 흐려놓는고.』 스님은 샘에서 흙탕물을 일으키며 놀고 있는 개구리 한 쌍을 두 손으로 건져 근처 숲속으로 옮겨 놓았다. 다음날 아침. 샘가로 나간 자장 스님은 개구리 두 마리가 다시 와서 놀고 있는 것을 보았다. 『허참, 그 녀석들 말을 안 듣는구먼.』 스님은 다시 오지 못하도록 이번에는 아주 멀리 갖다 버리고 왔다. 그런데 이게 웬일인가. 다음날에도 개구리는 또 와서 놀고 있었다. 『아무래도 이상한 일이로구나.』 스님이 개구리를 자세히 살펴보니 여느 개구리와는 달리 입과 눈가에는 금줄이 선명했고 등에는 거북 모양의 무늬가 있었다. 『불연이 있는 개구리로구나.』 자장율사는 개구리를 샘에서 살도록 그냥 놔 두었다. 어느덧 겨울이 왔다. 자장율사는 겨울잠을 자러 갈 줄 알았던 개구리가 눈이 오고 얼음이 얼어도 늘 샘물 속에서 놀고 있는 것을 보았다. 『거 안되겠구나. 살 곳을 마련해 줘야지.』 스님은 절 뒤 깎아 세운 듯한 암벽을 손가락으로 찔러 큰 손가락이 들어갈 만한 구멍을 뚫고 그 안에 개구리를 넣어 주었다. 『언제까지나 죽지 말고 영원토록 이곳에 살면서 자장암을 지켜다오.』 스님은 이렇듯 불가사의한 수기를 내리고는 개구리를 「금와」라고 이름했다. 그 뒤 통도사 스님들은 이 개구리를 금와보살, 바위를 금와석굴이라 불렀다. 금와석굴은 말이 석굴이지 지름이 1.5∼2cm에 깊이 10cm 정도의 바위 구멍이다. 그 속에는 이끼가 파랗게 끼어 있는데 개구리 같기도 하고 큰 벌 같기도 한 것이 살고 있다고 한다. 자장율사의 수기를 받아 오늘까지 살아온다고 전해지는 이 금와보살은 통도사 내에 길조가 생길 때면 나타난다고 한다. 고 경봉 스님이 10세 되던 해였다. 당시 80여 세이신 용익 스님은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좋은 종이에 탁본하여 모실 수 있기를 발원했다. 용익 스님은 통도사 큰법당에서 백일기도를 올렸다. 기도 끝나기 3일 전, 금와보살이 큰법당 탁상 위에 나타났다. 용익 스님은 금개구리를 보는 순간 불사가 원만성취될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부처님께 감사드리며 남은 3일간 철야정진을 했다. 기도가 끝나고 며칠 안되어 시주자가 나타나 팔만대장경 3권을 책으로 묶어 통도·해인·송광사에 1부씩 보관하게 됐다고 한다. 얼마 전 태응 스님은 자장암 법당 증축불사를 위해 기도를 올리다가 개구리소리를 들었다. 이상히 여긴 스님이 「관세음보살」을 외우면서 계속 기도를 하다 보니 부처님 옆 탁자 위에 회색 바탕의 몸에 다리가 붉은 금개구리가 기어나와 있었다. 스님은 그 후 사철 동안 굴 속을 들여다보면서 금개구리를 자세히 살폈다. 초봄의 금개구리는 자연석 같은 회색 바탕에 등에는 검은 점이 있고 발끝에는 둥글둥글한 구슬이 달려 있었다. 금테 같은 선을 두른 입은 마치 두꺼비 입을 닮았다. 여름이 되니 몸이 파랗게 변하면서 검음 점이 많이 보이다가 장마가 지자 다시 초봄의 색으로 변하더라는 것이다. 여름 더위가 심할 때는 몸 색이 누렇게 변하고 겨울이면 벌처럼 보였다고 한다. 이렇게 일기와 계절에 따라 변하는 금개구리는 먹이가 무엇이며 언제 밖으로 나오는지 아무도 알 수가 없었다. 궁금히 여긴 자장암 스님들은 어느 날 밤낮없이 교대로 석굴을 지켜봤다. 영축산에 어둠이 깃드니 금개구리 두 마리는 밖으로 나와 석굴이 있는 절벽 바위 위로 올라갔다. 그 속도가 얼마나 빨랐던지 순식간에 4∼5m를 뛰어올랐다고 한다. 그러나 언제 굴 속으로 다시 들어갔는지 본 사람이 없는데 스님들은 아마 새벽 2∼3시경인 듯 싶다고 추측하고 있다. 여름철 바위가 태양열에 파열되어 뜨겁기가 달구어진 무쇠솥 같아도 금개구리는 아무렇지도 않게 깎아지른 듯한 절벽을 뛰어다닌다고 한다. 옛날 어떤 관리가 금개구리 이야기를 듣고 자장암을 찾았다. 『이 절에 금개구리가 있다면서요?』『예, 있습니다. 자장율사 이후 한 번도 산문 밖을 나간 일이 없이 자장암을 지키면서 석굴 속에 살고 있지요.』 스님이 금개구리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자 관리는 믿으려 하지 않았다. 『내 그 개구리를 잡아 시험을 해볼 것이오.』『아니됩니다. 그 개구리는 불연이 깊은 불가사의한 생물입니다.』 그러나 그 관리는 스님의 만류를 뿌리치고 개구리를 잡아 함 속에 넣어 밀폐한 뒤 산문을 나와 함을 열어보았다. 그러나 이게 웬일인가. 분명히 잡아 넣은 개구리는 보이지 않고 함은 비어 있었다. 그 후 전하는 말에 의하면 그 금개구리들 자장율사의 신통력으로 살아가고 있다고 한다. 지금도 통도사 자장암을 참배하는 불자들은 으례 금와보살을 친견하려 한다. 그러나 신심이 돈독한 사람에게만 보이므로 친견 못하고 돌아서는 불자들이 더 많다고 한다. 금개구리 친견으로 자신의 신심을 한 번쯤 측량해 보아도 좋을 것 같다.

 

 

 

 

 

 

                                                        관음전 뒷쪽에 있는 금와보살 거처입니다

 

금와보살입니다. 실제는 청개구리 크기 입니다.

 

 

 

'사진방 > 여행.산행스케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백산 각화사(07.04.29)  (0) 2011.04.20
경남 언양 석남사(07.03.04)   (0) 2011.04.20
양산 통도사(07.03.04)  (0) 2011.04.20
보현산 천문대  (0) 2011.04.19
영천 기룡산 묘각사 (06.12.03)   (0) 2011.04.19